[python] 파이썬 기초다지기 #2 : print()로 숫자형, 문자형 자료 출력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인 파이썬 설치와 hello world를 출력해보기에 이어서 간단한 데이터를 출력해 보는 연습을 하면서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아마도 파이썬에 대한 본격적인 내용 공부가 시작되는 포스팅일 것 같습니다.
오늘의 파이썬 주제는 자료형입니다.
여러 자료형 중에 숫자형과 문자형 자료형에 대해 알아볼게요.
먼저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의 왼쪽에 있는 새파일 아이콘을 클릭하시구요.
새 파일 아이콘을 클릭하여,,
파일명을 practice.py (또는 여러분이 원하는 다른 파일명)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새 파일을 사용할 준비가 됩니다.
Python : 숫자형 자료 출력
편집창에 print(10) 이라고 입력하고 실행한 결과입니다.
아래 터미널창에 10 이 출력되었습니다.
print() 함수는 앞 포스팅에서 이미 다루어 보았듯이 출력의 기능을 하는 Python 내장함수입니다.
print(10)
print(-10)
print(2.54)
print(10000)
이번엔 추가적으로 다른 숫자들도 입력하여 출력해 보았습니다.
음수, 소수, 큰단위의 수 등도 모두 입력한 대로 잘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print(3+4)
print(2*9)
print(2*(4+2))
사칙연산은 물론이고 초등학교에서 배운대로 연산의 순서에 따라 정확히 계산이 되어 출력이 됩니다.
컴퓨터에게 이 정도는 일도 아니겠죠.
Python : 문자형 자료 출력
print('지금 우리학교는')
print("지금 우리학교는")
이번에는 print() 함수에 "지금 우리학교는" 이라는 문자열을 입력하여 출력해 보겠습니다.
출력할 문자열의 좌우에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결과는 동일합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이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를 섞어 쓰면 안됩니다.
print('지금 우리학교는")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문자열 출력 방법에 특이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print('지금 우리학교는'*2)
위와 같이 문자열에 * 연산자를 이용하여 반복출력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 를 해 줬기 때문에 "지금 우리학교는"이 연속으로 두 번 출력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기능이네요!
이번 포스팅은 이상으로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숫자형과 문자형 데이터를 알아보고 출력도 해 보았습니다.
데이터형은 다른 언어와 별반 다르지 않으므로 이처럼 간단하게 확인만 하는 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
참고 : 자료형은 있지만 자료동생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