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기입니다.
갤럭시 스마트폰에는 앱타이머 기능이 있어요. 아이폰에도 각 앱별로 사용시간을 설정하는 유사한 기능 즉 스크린타임이란 게 있지요.
앱타이머를 활용하면 개별 앱별로 최대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그 시간이 되면 종료하게끔 유도할 수 있어서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자녀가 있다면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경각심을 줄 수도 있어서 좋은데요 강제적인 것은 아니랍니다.
어떤 분은 취침전에 스마트폰을 보다가 그냥 잠이 드는 경우 유튜브가 계속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려고 앱타이머를 설정해 놓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지요?
취침 때에도 그렇고 공부나 업무 등에 집중해야 할 때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앱 타이머는 갤럭시의 기본 기능입니다.
|
갤럭시 설정에 있는 앱 타이머는 기본 기능이기 때문에 별도의 앱을 다운로드받을 필요가 없어요.
갤럭시폰에서 앱타이머 설정을 하기 위하여 설정 메뉴로 들어가 주세요.
설정 메뉴에서 아래로 조금 내려가다 보면 "디지털 웰빙 및 자녀 보호 기능"이 보입니다. 여기를 탭해 주세요.
디지털 웰빙에 들어가서 앱 타이머 메뉴로 들어갑니다.
앱 타이머 메뉴에는 타이머 설정을 할 수 있는 앱 목록들이 보이실텐데요 원하는 앱의 우측에 모래시계 아이콘을 누르면 시간 설정을 할 수 있어요.
제 경우에는 유튜브의 앱 타이머를 설정했어요. 테스트를 위해 17분만 설정해 볼게요.
유튜브를 본 시간이 17분이 경과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오늘은 여기까지" 라고 나오면서 유튜브가 종료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다시 앱타이머를 변경할 수 있어요. 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구요. 다시말해 강제성은 없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내가 목표한 시간만큼 보았으니 이제 그만 보시라고 경고의 메세지는 전달할 수 있어요.
왼쪽 그림은 앱타이머 설정이 되어 있는 앱의 그림 상태이고 오른쪽은 사용시간이 초과된 앱의 그림 상태입니다.
시간이 초과된 앱을 실행하면 시간이 초과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오고 다시 시간 설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어요.
사용시간이 초기화되는 시간은 매일 자정입니다. 0시가 되면 다시 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죠.
이상으로 오늘은 갤럭시폰의 앱사용시간 관리기능인 앱타이머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엑셀 현재 시트명 가져와서 입력하기 응용 (2) | 2022.11.09 |
---|---|
[Classic ASP] asp의 배열의 정적, 동적 선언 (0) | 2022.11.05 |
2022년 K-디지털 분야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양성과정 2차 모집 (0) | 2022.11.01 |
포스트맨(POSTMAN)으로 Rest API 테스트하기 (0) | 2022.04.25 |
원격제어 무료 프로그램 애니데스크로 스마트폰과 pc를 제어하는 방법 (1) | 2022.03.28 |
댓글 영역